티스토리 뷰
운영체제 14
가상기억장치관리 (3)
가변할당 기반의 교체기법
Working Set 기법
-프로세스가 특정시점에 집중적으로 참조하는 페이지들의 집합
-최근 일정 시간 동안 참조한 페이지들의 집합
-프로세스의 working set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함.
-W(t,델타)표기
[t-델타,t] 시간동안 참조한 페이지들의 집합.
-지역성기반
workingset 을 모두 주기억장치에 적재시킴으로서 페이지부재를 거의 발생시키지 않고 실행가능
델타 값 결정이 중요한데, 일반적인 원칙은 없고 해당 시스템의 특성을 고려
-특성 : 추가로 적재되는 페이지가 없어도 교체되는 페이지가 있을수있음. 추가로적재되는 페이지가 있어도 교체되는 페이지가 없을수있음.
-단점 : 주기억장치에 적재되는 페이지들의 집합을 조정해야 하는 오버헤드 발생.
PFF(페이지 폴트 프리퀀시) 기법
-상주 집합 결정시 페이지 부재율 반영.
-부재율이 낮을 경우 페이지의 프레임수 줄임.
-높을 경우 프레임 추가할당
-할당공간량변경과 상주집합의 조정은 페이지부재가 발생시에만 조정되므로 오버헤드줄임.
-페이지부재발생간격이 일정 시간보다 높고 낮음에 따라 부재율을 판단.
-IFT(페이지부재발생간격) > t 인 경우, tc-1부터 tc까지 발생한 페이지만 주기억장치에 적재, 나머진 교체.
-IFT < t 인 경우, 기존 상주집합 유지. 현재 참조된 페이지를 주기억장치에 추가적재.
특성 : 페이지 부재 발생시에만 주기억 장치의 상태가 변함.
VMIN(Variable MIN)기법
Working Set, PFF 를 포함한 기법들중 가장 최적의 성능을 내기 위한 기법.
-부재발생횟수의 최소화 뿐만 아니라, 평균 주기억장치할당량도 고려.
매시점마다, 미래 시간간격 동안의 페이지 참조스트링을 보고 주기억장치의 상태를 변경시킴 -> 실현불가능
페이지 교체시 기타 고려사항.
-페이지크기 : 시스템 특성에 따라 시스템마다 다르게 결정된다.
-일반적으로 2^7 ~ 2^14 바이트
-페이지 크기가 작다면 : 테이블 단편화 발생, 프레임개수증가, 내부단편화 감소, 필요한부분만 적재할 가능성 높아짐.
-페이지 크기가 크다면 : 불필요한 부분도 적재되어 공간낭비초래.
-프로그램구조재구성 : 사용자나 프로그래머가 기억장치관리기법에 어느정도 지식이 있다면, 실행하고자 하는 프로그램의 구조를 최적하게 재구성할 수 있음.
'2013-spring > O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파일시스템 (0) | 2013.06.22 |
---|---|
디스크스케줄링 (0) | 2013.06.22 |
가상기억장치관리(2) (0) | 2013.06.22 |
가상기억장치관리(1) (0) | 2013.06.22 |
가상기억장치 구성 (0) | 2013.06.22 |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- Total
- Today
- Yesterday
링크
TAG
- 스위프트
- watchOS
- 업로드
- 아이폰
- TVos
- xcode
- homepod
- 열거형
- ios
- 아이패드
- 개발
- 열거
- Watch OS
- 단말기 확인
- 워치os
- 장치 확인
- 어플리케이션 로더
- AppleTV
- 22421
- 아이맥 프로
- Swift
- 애플리케이션 로더
- 화면회전
- Apple TV
- 애플
- 홈팟
- Application Loader
- 애플와치
- IPA
- iOS7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글 보관함